치조골흡수로 치근이 드러난 잇몸퇴축 환자 치조골이식, 상악동거상술 라테랄 임플란트 사례[한원장칼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덴티스킨치과 작성일25-06-10 14:54 조회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덴티스킨치과 한상윤원장입니다.
오늘은 치조골흡수로 치근이 드러난 잇몸퇴축 환자분의 임플란트 사례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내원하신 환자분의 경우 60대 남성으로 고혈압이 있으셔서 아스피린 등의 약을 복용 중이셨는데요.
내원하게 된 계기는 어금니가 없어서 음식물을 저작할 수 없어 내원하셨다고 합니다.
초진 시 구강상태는 오른쪽 위 어금니 브릿지를 10년 정도 사용 중이셨는데, 보철 내부 치근이 충치로 인해 치조골 흡수가 생겼고
이로 인해 잇몸퇴축 현상이 있었으며, 치근이 노출되어 흔들리는 상태였습니다.
치조골이 흡수되는 원인은 치아 주변 치태와 치석, 보철 내부 치근의 충치인데, 치조골이 녹으면 잇몸이 내려가서 치아의 치근이 노출되어 치아가 길어 보이게 됩니다.
-
■ 치조골흡수로 치근이 드러난 잇몸퇴축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 계획 ■
해당 환자분의 치료 계획은 치조골 흡수로 인해 흔들리고 있는 치아를 발치하고, 뼈 상태가 그래도 괜찮은 왼쪽은 발치 후 임플란트를 바로 식립,
치조골 흡수가 심한 부위는 발치 후 치조골 회복을 기다렸습니다.
우측 치조골 회복이 끝나면 상악동 거상술 및 치조골 이식술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임플란트를 식립한 뒤 주기적인 잇몸 체크와 잇몸치료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거와 같이 해당 환자분의 경우 고혈압으로 약을 복용 중이셨는데요.
일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임플란트 외에도 다른 수술을 진행한다면 복용 중인 약물을 의료진에게 반드시 말을 해주셔야 합니다.
수술 시 지혈이 안되거나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아 추후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나 전신질환(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등)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심장 및 뇌혈관 수술 혹은 시술을 받은 환자분의 경우 담당 주치의와 치과 의료진의 협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분이셨기 때문에 수술 전에 약 복용 상태를 확인하고, 혈압 상태까지 체크한 뒤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했는데요.
조절되지 않는 높은 고혈압 상태가 아니라면 발치 및 수술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염증이 많은 부위는 출혈이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치 후 지혈에 신경 쓰는 게 중요합니다.
잇몸 상태가 나쁜 오른쪽 치아는 발치하고, 왼쪽 어금니 부위는 발치하는 날 치조골 이식과 함께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하였습니다.
오른쪽의 경우 파노라마 사진에서도 보이지만 오른쪽 치조골 흡수가 심하여 발치를 진행 후 회복을 기다렸습니다.
왼쪽 위, 아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진행했고 잇몸이 어느 정도 아물었을 때 보철을 세팅하여 왼쪽부터 저작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구치부 교합이 불안정하게 되면 앞니 쪽 교합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앞니가 흔들리거나 옆쪽으로 눕게 되거나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치아를 잃었다면 방치하지 마시고 미리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른쪽 치조골이 회복되고 나면 상악동 거상술 라테랄 방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치조골 이식술도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파절된 치아는 신경치료를 진행했고, 임플란트를 식립 한 곳은 보철을 세팅했습니다.
오늘 소개한 환자분의 경우 치아가 흔들리는 상태로 오랜 상태를 방치했고 이로 인해 치조골이 많이 흡수되면서 보철치료한 부분의 치근이 드러난 잇몸퇴축이 심한 상태였습니다.
만약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 중 치아가 빠진 상태로 혹은 흔들리는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했다면,
치료 과정이 더 어려워지고 길어지기 전에 미리 꼭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